학명 : Polygala japonica Houtt.
- 원지과(Polygalaceae)
- 원지속(Polygala)
- 아기풀 영신초
- 초본성 반관목
- 꽃말 : 숨어사는 자 서식지 :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 물 빠짐이 좋은 곳 </>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차이나 등지
-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2cm로서 줄기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엽병이 매우 짧다.
- 초본성 반관목으로서 높이가 20cm에 달하고 뿌리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잔털이 난다.
- 4-5월에 짧은 총상화서가 나와 접형화 비슷한 연한 홍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잎은 5개로서 꽃잎처럼 생긴 양쪽 2개의 꽃받침잎이 날개모양으로 된다. 꽃잎은 밑부분이 합쳐져서 한쪽만 터지고 앞면에 해당하는 꽃잎 뒷면에 갈라진 열편이 있으며 수술은 8개로서 밑부분이 합쳐진다. 씨방은 2실이며 화주(花柱)는 2갈래로 갈라진다.
- 삭과는 편평한 원형이고 2개의 포가 있으며 넓은 날개가 있고 9월에 익는다.
- 높이 20cm에 달한다.
- 특징 및 사용 방법
영신초(靈神草)·아기풀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뿌리는 가늘고 단단하다. 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가 모여나와 밑 부분은 비스듬히 자라지만 위쪽은 곧게 선다. 밑 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반관목성(半灌木性) 식물이며 전체에 잔털이 나 있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온포기를 과자금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또한 줄기와 잎을 말린 것을 영신초라 하여 약재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 애기풀 (불곡산 2017년 4월 26일 촬영)
- 두메애기풀
- 학명 : Polygala sibirica L.
- 원지과(Polygalaceae)
- 원지속(Polygala)
- 두메영신초 조선영신초
- 다년생 초본
-
서식지 : 석회암산지의 건조한 풀숲, 너덜지대
-
국내분포 :함경북도, 강원도, 전라북도
-
해외분포 :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몽골, 중국(동북부), 유럽
-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엽병은 없거나 짧고 길이 1-2cm 폭 3-6mm로서 1맥이 있다. 잎 앞뒷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전체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줄기는 여럿이 뭉쳐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6mm정도로서 자주색이며 총상화서는 짧고 꽃이 약간 달리며 화축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소화경은 길이 3-6mm로 털이 있으며 처진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뒤의 것 1개와 밑의 것 2개는 선형이며 녹색이고 길이 2mm정도로서 뒷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옆의 것 2개는 꽃잎같고 타원형이며 길이 5mm 나비 5m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담록색이며 끝에 짧은 돌기가 있다. 꽃잎은 3개로 보라색인데 2개의 곁꽃잎은 길이 5-6mm이고 나머지 1개는 용골상 꽃잎으로 끝에 술모양의 부속물이 있다.
- 삭과는 길이 6mm 폭 5mm로 편평한 원형이며 끝이 오목하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종자는 난형으로 길이 2-3mm의 흑갈색이며 백색 융모가 밀생한다.
- 높이가 30cm 정도로 자란다.
- 애기풀(Polygala sibirica L.)에 비해 잎이 피침형으로 좁으므로 구분된다.
- 두메애기풀 (강원도 영월 선돌관광지 2017년 5월 26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