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Clintonia udensis Trautv. & C.A.Mey.
- 백합과
- 나도옥잠화속
- 당나귀나물 두메옥잠화 제비옥잠
- 다년초이다.
- 꽃말 : 조용한 사랑, 침착
- 서식지 : 높은 산의 나무 그늘 밑이나 작은 계곡 주변의 습기가 많고 공중습도가 높은 곳
- 분포지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 잎은 모두 근생엽으로 2-5개이고 긴 타원형으로서 녹색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20-30cm 폭 2.5-7cm로서 처음에는 연모가 있으나 없어진다. 잎의 앞뒷면에는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급첨두(急尖頭)에 설저(楔底)이고 밑은 엽초로 되며 후기에는 자루로 연장된다.
- 꽃은 6-7월에 피고 화경(花梗)은 높이 20-70cm로서 잎이나 가지가 없으나 간혹 가지가 1개 달리기도 하며 끝에 2-12개의 백색꽃이 총상으로 달리고 화서에 털이 있다. 포는 일찍 떨어지며 길이 6-8mm로서 넓은 선형이고 가지에 털이 있으며 꽃이 핀 다음 약간 자라서 길이가 1-4cm로 되고 위로 비스듬히 퍼진다. 꽃잎은 6개이며 옆으로 퍼지고 길이 12-15mm로서 좁은 타원상 둔두이며 5-7맥이 있다. 수술은 6개로서 꽃잎밑에 붙으며 꽃밥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2mm이며 수술대는 길이 5-6mm이다. 암술대는 3갈래이며 자방은 3실이다. 꽃이 핀 다음 화경이 길게 자라고 동시에 소화경도 길어지며 각각 짙은 남색의 열매가 달린다
- 열매는 초기에 장과 모양이며 7-8월에 남색으로 익고 난원형으로 지름 1cm가량이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4mm 지름 2mm정도로서 갈색이다.
- 화경(花梗)은 높이가 20-80cm이다.
-
나도옥잠화는 옥잠화와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특히 잎이 비슷하다. 그러나 꽃은 모양이 다른데, 옥잠화는 길쭉한 통꽃이지만 나도옥잠화는 작은 꽃이 여러 개 뭉쳐서 달린다.
-
옥잠(玉簪)이라는 이름은 한자로 ‘옥으로 된 비녀’라는 뜻으로, 여기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전해진다.
옛날 중국에 피리를 아주 잘 부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그가 피리를 불고 있는데 달에서 선녀가 내려와 피리 부는 법을 가르쳐달라고 했다. 그래서 가르쳐주었더니 선녀는 돌아갈 때 답례로 비녀를 빼어 그에게 주려다 그만 떨어뜨리고 말았다. 그는 비녀를 찾으려고 했지만 찾을 수 없었고, 대신 근처에 비녀와 비슷한 꽃이 피어 있었다. 그래서 그 꽃을 옥잠화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
-
나도옥잠화는 높은 산의 나무 그늘 밑이나 작은 계곡 주변의 습기가 많고 공중습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는 반그늘 식물로, 키는 약 30㎝ 내외이다. 잎은 길이가 12~17㎝, 폭이 5~7㎝ 정도이다. 밑둥에서 2~5장 정도의 잎이 나오는데 달걀 모양이며 광택이 난다. 잎의 밑은 좁고 위가 넓으며, 끝이 뾰족하다.
나도옥잠화 (강원도 함백산 2017년 5월 26일 촬영)
나도옥잠화 (함백산 2018년 5월 22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