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지칭개

학명  :  Hemistepa lyrata Bunge

  • 국화과             
  • 지칭개속             
  • 지칭개나물
  • 2년초.
  • 꽃말 : 고독한 사랑, 독립
  • 서식지 : 고도가 낮은 산지의 풀밭, 길가, 공터, 밭두렁.     
  • 국내분포 :  전국
  • 해외분포 :  중국, 일본, 인디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좁아지며 길이 7~21cm로서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3각형으로서 때로는 3개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7~8쌍으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된다.
  •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60~80cm이며 속은 비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 꽃은 5-7월에 피고 두상화는 홍자색의 통꽃만이며 줄기나 가지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고 꽃이 필 때는 곧게 선다. 총포는 둥글며 길이 12~14mm 지름 18-22mm로서 8줄로 배열되고 뒷면 윗부분에 맨드라미같은 부속체가 있다. 화관은 자주색이며 길이 13~14cm이다.
  •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mm 나비 1mm로서 암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관모는 우상이고 떨어지기 쉬우며 2줄이다.
  • 높이 60~80cm이다.

 

  • 2007년 발간 된 한국속식물지(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는 지칭개속에 전 세계적으로 약 150종이 분포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지칭개속에는 지칭개 한 종만 속해 있다. 지칭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취나물속(Saussurea) 일부 식물들과 형태적으로 비슷해서 취나물속에 분류하기도 한다. 이 경우 Saussurea affinis의 이명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두 속 식물들은 형태적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즉, 지칭개에서는 우산털이 두 가지의 형태를 지니며 바깥 열에 작은 인편이 있는 것이 취나물속과 다르다. 또 열매의 표면에 10-15개의 길이로 난 솟은 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조뱅이속(Breea)이나 엉겅퀴속(Cirsium) 식물들에 비해서 바깥쪽부터 중앙까지 붙은 총포조각에는 닭의 볏처럼 생긴 부속체가 있으므로 구분된다.
    뿐만 아니라, 2004년 발표된 취나물속(Saussurea)과 유연 관계가 가까운 식물들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보면 지칭개는 취나물속에 속하지 않고 독립된 계통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지칭개는 취나물속의 자매분류군임이 밝혀졌다(Kita et al. 2004).
    2008년 중국에서 연구한 바에 의하면, 본 분류군에서 추출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가 다른 식물의 뿌리 생장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므로 제초제로 개발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Gao et al. 2008).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  

 

지징개  (남한산성  2018년 6월 2일 촬영)

 

 

 

 

 

 

  • 지칭개  ( 태안군 구례포해변  2017년 6월 10일 촬영)
  •  
  •  
  •  
  •  

 

'야생화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쥐꼬리풀  (0) 2017.06.14
조록싸리  (0) 2017.06.14
천마  (0) 2017.06.07
산딸나무  (0) 2017.06.07
땅비싸리  (0) 2017.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