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누정/강원도

<한국누정053> 강릉 경포10정 방해정(放海亭) 220517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 449(저동 8) 건축시기 : 조선 철종 10년(1859) 문화재 지정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0호 촬영 일자 : 2022년 5월 17일, 맑음 원래 방해정(放海亭)의 위치는 삼국시대의 고찰인 인월사 터였는데, 조선 철종 10년(1859) 청안 현감과 통천 군수를 지낸 이봉구(李鳳九)가 관직을 물러난 후, 강릉객사를 헐어버릴 때 자재 일부를 가져다가 이 정자를 짓고 만년을 보낸 곳이라고 한다. 풍광이 좋은 터에 자리 잡은 누마루가 있는 별당 형식의 정자인 이 건물은 정면 4칸, 측면 3칸 규모의 'ㄱ'자형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두 개의 온돌방과 마루방, 부엌을 달아 살림집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전면은 모두 네 짝의 문을 달아 문을 열면 경포호의 경치를.. 더보기
<한국누정052> 강릉 경포10정 금란정(金蘭亭) 220517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371번길 57(저동 15-1) 건축시기 : 조선시대, 고종 26년(1889) 재건축 문화재지정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호(1984.6.2지정) 촬영 일자 : 2022년 5월 17일, 맑음 경포호 옆에 있는 이 정자는 조선후기 선비 김형진(金衡鎭)이 경포대 북쪽 시루봉 아래에 세우고 앞뜰에 매화를심어 학이 서식하였다고 해서 매학정(梅鶴亭)이라 불렸는데, 고종 26년(1889) 금란계원들의 계모임에서 정자를 인수하고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지으면서 계모임의 이름에 따라 금란정(金蘭亭)이라 명하게 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전면에는 오른쪽으로 누마루를 두고, 왼쪽의 전면 칸은 툇간마루, 그 뒷부분은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 창호는 하부에 머름을 두고 네.. 더보기
<한국누정051> 강릉 경포10정 상영정(觴詠亭) 220517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371번길 53(저동 산14-1) 촬영 일자 : 2022년 5월 17일, 맑음 경호정에서 오른쪽으로 얕은 언덕을 오르면 상영정이 있다. 상영정(觴詠亭)은 1886년(고종 23)에 강릉 지역 향토 유림 16인이 건립한 것으로 '상영계'라는 친목계를 조직하고 강신 활동을 한 곳이다. 다른 곳에 있던 것을 1968년에 현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건물 앞면 3칸, 옆면 2칸반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일반 살림집 사랑채처럼 마루와 온돌방을 두고 있다. 높지 않은 언덕이지만 이곳에 있는 3개의 정자(경호정과 금란정) 중 가운데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상영정 앞에 서면 경포호가 한눈애 내려다 보인다. 더보기
<한국누정050> 강릉 경포10정 경호정(鏡湖亭) 220517 경포호10정 호수가 거울처럼 맑아 '경포호(鏡浦湖)'라 불리는 이 호수는 과거 바다였던 곳이 해안사구로 막히면서 형성된 자연석호이다. 경관이 아름다운 경포호 둘레길 4.35km 주변에는 누정이 많은데, 총 16개의 누정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동안 일부가 소실되고 현재는경포대, 활래정, 해운정, 경호정, 상영정, 금란정, 방해정, 호해정, 취영정, 창랑정, 환선정, 월파정 총 12개의 정자가 남아 있다고 한다. 그중 내가 답사하지 못한 창랑정과 환선정을 제외한 10개의 누정을 '경포10정'이라 명명하고, 기 소개한 경포대, 활래정, 해운정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정자를 하나씩 소개하고저 한다. 경호정(鏡湖亭)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371번길 49(저동 18-2) 촬영 일자 : 2022년 5월.. 더보기
<한국누정049> 강릉 경포10정 해운정(海雲亭)(보물) 220517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125(운정동 256) 건축시기 : 조선 중종 25년(1520), 영조 37년(1530) 중수 문화재지정 : 보물 제183호(1963.1.21지정) 건물 규모 및 구조 : 앞면 3칸, 옆면 2칸, 팔작지붕, 오른쪽 2칸 대청, 왼쪽 1칸 온돌방의 별당식 건물 촬영 일자 : 2022년 5월 17일, 맑음 강릉 경포호변에 있는 해운정(海雲亭)은 조선 중종 25년(1530)에 심언광(沈彦光)이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지은 별당식 정자로, 강릉에서 오죽헌 다음으로 오래된 건물이며 강릉지방의 대표적 누정건축물이다. 이 건물은 3단으로 쌓은 축대 위에 남향으로 지었으며, 오른쪽은 대청마루이고, 왼쪽은 온돌방이다.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꾸몄고, 대청 앞면에는 문을 달아 모두 열 수 있.. 더보기
<한국누정048> 강릉 선교장 활래정(活來亭) 200814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 63(운정동 990), 선교장 내 건축시기 : 조선 중종 때 문화재 지정 : 국가민속문화재 제5호, 강릉 선교장 촬영 일자 : 2020년 8월 14일, 맑음 활래정(活來亭)은 강릉 선교장의 연못에 있는 정자이다. 선교장은 조선 중종대에 효령대군의 11대손인 이내번(李乃蕃, 1703~1781)이 건립한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상류 주택으로 열화당.활래정.동별당.안채 외 부속 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10대에 걸쳐 30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 그 후손들이 거주하며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명성과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1967년 국가지정문화재로 등록되었으며, 20세기 한국 최고의 전통가옥으로 선정된 바 있다. 활래정은 이내번의 손자 이후가 처음 연못 가운데 .. 더보기
<한국누정047> 강릉 관동팔경 경포대(鏡浦臺)(보물) 200814 소재지 : 강원도 강릉시 경포로 365(저동 94) 건립 시기 : 고려시대, 조선 영조 21년(1745) 재건 문화재 지정 : 보물(2019.12.30 지정) 건물 규모 및 구조 : 정면 5칸 측면 5칸 목조, 익공식 겹처마, 팔작지붕, 연등천정, 2고주 5량가 촬영 일자 : 2020년 8월 14일, 맑음 관동팔경 중 하나로 경포호 북쪽 언덕 위에 자리한 누각이다. 1326(고려 충숙왕 13)에 관동존무사 박숙정(朴淑貞)이 현재의 방해정 북쪽에 세웠는데, 1508년(중종 3) 부사 한급(韓汲)이 현 위치로 이건한 후 현재까지 7차에 걸쳐 중수했다. 현재의 건물은 1745년(조선 영조 21) 부사 조하망(曺夏望)이 세운 것으로서, 낡은 건물을 헐어내고 홍수로 인하여 사천면 진리 앞바다에 떠내려온 아름드리나.. 더보기
<한국누정046> 철원 임꺽정전설 고석정(孤石亭) 220502 소재지 :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태봉로 1825(장흥리 725-13) 건립 시기 : 신라 진평왕, 1971년 복원 문화재 지정 : 강원도 기념물 제8호 촬영 일자 : 2022년 5월 2일, 맑음 고석정은 한탄강 중류에 있는 정자이자 그 주변을 아우른 지역을 말한다. 현무암 계곡 지형으로 양쪽은 절벽이며 한쪽 강가에 10m 높이의 고석이 우뚝 솟아 있다. 옛 고석정 건물은 한국전쟁 때 모두 불에 탔고 1971년에 지금 모습으로 새로 지었다. 고석정은 이곳에서 2km 떨어져 있는 순담계곡과 함께 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경치가 아름다워 철원 9경 중 하나로 꼽힌다. 고석정을 처음 세운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기록에 따르면 신라 진평왕(재위 579~632)과 고려 충숙왕(재위 1313~133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