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구광역시

대구 수성구 고산서당 230507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성동로37길 39-3 (성동) 문화재지정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5호 답사일자 : 2023년 5월 7일, 비 고산서당(孤山書堂)은 언제 지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퇴계 이황(1501~1570) 선생과 우복 정경세(1563~1633) 선생이 이곳에서 강론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1500년대에 이미 건립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서당은 1690년(숙종16) 퇴계 . 우복 두 선생의 위폐를 모시는 사당을 지은 뒤 고산서원으로 그 이름을 바꾸었으며, 1734년(영조10)에는 강당 및 동 . 서재를 새로 지었다. 그 뒤 1868년(고종5)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 철거된 것을 1879년(고종16) 옛 터에 강당만 다시 지어 고산서당이라 하였다. 서당 뒤쪽의 옛 사당 터에는.. 더보기
<한국누정127> 대구 옻골 동계정(東溪亭)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옻골로 204 (둔산동) 건립시기 : 1910년 문화재지정 :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5호 답사일자 : 2022년 8월 1일, 맑음 대구 옻골마을은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에 있으며, 조선중기 학자 최동집이 1616년 이곳에 정착하면서 경주최씨 집성촌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산으로 둘러싸여 오목하다고 하여 옻골, 또는 예전 옻나무가 많아서 옻골이라고 한다고 한다. 옻골마을에서 동쪽에 위치한 이 정자는 백불암 최흥원의 아들인 동계 최주진을 기리기 위해서 1868년 훼철되었던 동산서원의 자재를 사용하여 1910년에 세운 것으로, 최주진의 호를 따라 동계정으로 이름을 지었다. 정자의 용도는 주로 후손들에게 학문을 가르칠 때 사용하였다고 전한다. 동계정은 옻골마을에 있는 수구당, 보본당.. 더보기
<한국누정126> 대구 서계서원 환성정(喚惺亭)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 51길 45-17 (서변동), 서계서원 내 건립시기 : 1582년 초건, 1902년 중수 답사일자 : 2022년 8월 1일, 맑음 환성정은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서계서원 안에 위치해 있다. 환성정(喚惺亭)은 임진왜란 때 대구지방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태암 이주(苔岩 李輈, 1556~?)가 지은 정각이다. 이 건물은 왜란 전인 1582년에 대구의 북쪽 금호강가에 건립된 것이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왜란 평정 후에 이주가 중건하여 강학했으나 그가 타계한 후에는 일정기간 유지되다가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렸다. 이 후 1902년에 이주의 9대손인 이억상이 환성정을 중수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건물이다. 이주는 정경세 등과 교유하고 성리학을 연.. 더보기
<한국누정125> 대구 달성 육신사 태고정(太古亭)(보물)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64 (묘리), 육신사 내 건립시기 : 조선 성종 10년(1479), 광해군 6년(1614) 재건 문화재지정 : 보물 제554호 답사일자 : 2022년 8월 1일, 맑음 육신사로 들어가는 길 양쪽에 배롱나무꽃이 만발했다. 충신들의 붉은 충절을 보여주는 듯하다. 육신사(陸臣祠)는 사육신으로 일컫는 조선 세조 때의 박팽년.성삼문.이개.유성원.하위지.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처음 사당을 지을 때는 충정공 박팽년 선생만을 그 후손들이 모셔 제사지냈으나, 선생의 현손인 박계창이 선생의 제삿날 사육신이 함께 사당문 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뒤부터 나머지 분들의 음식도 장만하여 함께 제사지낸다고 한다.(사육신 중 유일하게 박팽년 만이 후손이 살아남았다.) 육신.. 더보기
<한국누정124> 대구 달성 삼가헌 하엽정(荷葉亭)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동4길 15 (묘리) 건립시기 : 조선시대(1874년) 문화재지정 : 국가민속문화재 제104호 답사일자 : 2022년 8월 1일, 맑음 삼가헌 고택은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마을과 낮은 산 하나를 경계로 하고 있는 파회마을에 자리 잡은 조선 시대의 주택이다. 묘골마을은 사육신의 한 사람인 충정공 박팽년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 집성촌이다. 1769년 박팽년의 11대손인 성수가 이곳에 초가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서 삼가헌이라고 이름하였다. '삼가(三可)'란 중용에 나오는 선비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천하와 국가를 다스릴 수 있고, 벼슬과 녹봉을 사양할 수 있고, 날카로운 칼날을 밟을 수 있음'을 뜻한다. 1783년에 성수의 아들 광석이 이웃 마을에서 분가하.. 더보기
<한국누정123> 대구 달성 하목정(霞鶩亭)(보물)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목정길 56-10 (하산리) 건립시기 : 조선 선조 37년(1604) 문화재지정 : 보물 제2053호 답사일자 : 2022년 8월 1일, 맑음 달성 하목정(霞鶩亭)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낙포 이종문(洛浦 李宗文)이 선조 37년(1604)에 세운 것으로, 원래는 주택의 사랑채였으나 안채가 없어진 후 정자로 사용하고 있다. 하목정(霞鶩亭)이란 정자의 이름은 조선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전에 이곳에 머문 적이 있어, 이종문의 장남인 이지영에게 직접 써 주었다고 한다. 일반 백성들의 주택에는 서까래 위에 부연을 달지 않는 것이 관례였으나, 인조의 명으로 부연을 달았다고 한다. 이 정자는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넓은 대청에 방 4칸을 세로로 덧붙여 평면이 '정(丁)자.. 더보기
배롱나무꽃, 대구 달성 하목정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목정길 56-10 (하산리) 문화재 지정 : 보물 제2053호 촬영 일자 : 2022년 8월 1일, 흐림 하목정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이종문(李宗文)이 1604년에 건립한 것으로 원래는 제택의 사랑채였으나 안채가 없어진 후 정자로 사용하고 있다.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이 집에 머문 적이 있었는데 그때 이종문의 장자인 이지영에게 하목정이란 당호를 써 주었다고 한다. 하목정 주변에 배롱나무가 울창하여 배롱나무꽃이 만개하는 7월 하순부터 8월 초에는 전국의 사진작가들이 모여든다. 더보기
<필름사진 추억여행> 묘전 스님 다비식, 팔공산동화사 031127 장소 :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1길 1(도학동), 팔공산 동화사 묘전 스님 : 비구니 출사일자 : 2003년 11월 27일 밤, 비 카메라 : Nikon FM2, 필름 : Kodak Gold, 사진스캔 흑백사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