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교구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내성지087> 목숨을 바친 자들의 산, 치명자산 190318 이곳은 예로부터 승암산 또는 중바위산이라 불렸는데, 1801년에 순교한 복자 유항검의 가족들을 합장한 뒤, 치명자산 또는 동정 부부 이 루갈다를 추앙하여 루갈다산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곳에는1784년 세례를 받아 호남에 처음 복음을 전하고 선교사 영입과 서양 선진 문화 수용을 하다가 국사범으로 처형된 유항검 아우구스티노와 그의 처 신희, 동정 부부로 순교한 큰아들 유중철 요한과 며느리 이순이 루갈다, 둘째 아들 유문석 요한, 제수 이육희, 조카 유중성 마태오 일곱 분이 하나의 유택에 모셔져 있다. 유항검은 1801년 신유박해가 터지자 전라도 지방에서 제일 먼저 체포돼 서울로 압송당해 능지 처참형을 받고 전주 감영으로 다시 이동, 1801년에 46세의 나이로 참수되었다. 선인들이 해발 300m의 산정에 님.. 더보기 <국내성지086> 호남의 사도 유항검의 생가터, 초남이 190318 초남이는 '호남의 사도'라고 불리는 유항검의 생가터가 자리한 곳이다. 1754년 초남리에서 태어난 유항검은 1784년 늦은 가을 세례를 받고 한국 교회 최초의 순교자인 윤지충과 함께 전라도 지방에 복음을 전파하는 데 거의 절대적인 공헌을 한 인물이었다. 1801년 신유박해가 시작되자 유항검은 전라도 지방에서는 가장 먼저 붙잡혀 혹독한 고문을 받고 그해 10월에 참수되는데 이때 그의 나이 46세였다. 이 때문에 유항검의 처 신희, 제수 이육희, 동정 부부이자 유항검의 아들 며느리인 유중철과 이순이, 둘째 아들 유문석 그리고 조카 유중성이 순교하였고, 이분들의 무덤은 전주 '치명자산'에 합장되어 모셔져 있다. 유항검의 처와 제수를 제외한 5명은 '하느님의 종'으로 선정된 데 이어 절차에 따라 시복되었다. 유.. 더보기 <국내성지085> 김대건 신부 착지처, 나바위 190318 오늘부터 4박 5일간 호남지역의 전주교구와 광주대교구 산하 성지를 순례하러 떠난다. 전주의 한옥마을에 숙소를 정하고 전주교구의 11개 성지와 광주대교구의 4개 성지를 둘러보는것이 이번 여행의 목표이다. 그동안 동행을 해왔던 이재현 요셉 부부가 동행하지 못하고, 30년도 넘게 이웃 사촌인 김윤환 안토니오 부부가 동행한다. 아침 일찍 미금역에서 합류한 네 사람이 전주로 가는 길목에 있는 익산의 나바위 성지로 향한다. 나바위 성지는 김대건 신부가 중국에서 사제가 되어 조국에 입국하며 첫발을 디딘 축복의 땅이다. 1845년 10월 12일 밤 김대건 신부는 페레올 주교, 다블뤼 신부 등과 함께 이곳 황산포 나바위 화산 언저리에 도착했다. 김 신부로서는 그해 1월 육로로 한 번 입국한 데 이어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