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노동로 191-9 (화산리)
건립시기 : 조선 명종 1년(1545)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3년 11월 6일, 맑음
취석정(醉石亭)은 조선 명종 1년(1545)에 고창의 선비 노계 김경희(蘆溪 金景熹, 1515~1575)가 지은 정자이다. 그는 조광조와 외삼촌인 양팽손에게 성리학을 배웠으며 시와 문장에도 뛰어났으나 을사사화(1545)에 연루되어 벼슬길에 오르지 못했다.
'취석(醉石)'이란 중국 시인 도연명이 술에 취하면 눕곤 하여 파인 흔적이 남았다는 바위에서 딴 이름으로, 욕심 없이 한가롭게 살아가겠다는 뜻이 담겼다.
![](https://blog.kakaocdn.net/dn/R7nJI/btsEhJGouDU/he4WpJ3srydTs0CDsXHt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PrTT/btsEjF4ogEx/1IPYJTkXgiWMa0j54vx6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1ao2/btsEmLvvl3C/AaRSg8xZWtdJAhxHoUN9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aZmIq/btsElkZtIDE/L0wgz50YkOoD5f2bQaH4t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7e6m/btsEkzo4dqm/BFfcFRNtpbhQPhYcwKZrK1/img.jpg)
취석정은 정자 가운데 방을 만들고 온돌을 놓아 추운 겨울에도 머물 수 있게 했다. 정자 아래쪽에는 아궁이와 굴뚝이 남아 있다. 마루 끝에는 계자난간을 설치하였는데 난간에는 태극과 팔괘를 조각하여 이 정자를 우주의 축소판으로 형상화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coaB6n/btsEhB2JpyP/ES07ITN3OICXyqaZLtPBy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YtKG/btsEmT1kMXz/KhmjGHHkDqiF3xGZqlKVL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tscc8/btsEj8ys6bK/1LVfvyl6CVOZknwKMysJr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1rnx/btsEihv6JTa/YktCroiSqCh8oSpYzSlr1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qbSM/btsEjS3GPnQ/5tWKMKOKFUf4fRhkGyk0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Smrw/btsEkTOz3mo/Y9YmbIWioHzlXF8T2Ih5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1hzfg/btsEiAoJ1oa/BdaHCxniAO35TnNQfsJNfK/img.jpg)
사방으로 개방된 마루 위에는 여러 현판들이 있다. 1873년 무장현감이었던 김영수가 쓴 취석정 현판부터 시작해 기정진, 김영수의 취석정기, 봉기종, 신사범, 변시연 등의 시문 현판들이 나란히 걸려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1rBAr/btsEmFbkwAf/JFVpxzUOMHL9SRlxumKd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4G7i3/btsEmRboZn7/0HyU1T3Phqta72BCy5lI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Rfv7/btsEkAIgQK1/8eLr6CudZNkLsTtxy8tJ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2hM8H/btsEkgXxUXW/qKLH2xI9dKhnavG3FIXM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trlI/btsEiWFgWPK/NKAVVCQAlzAcd28v8aeR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kDTQc/btsEiACfj6B/x52M3bu45DwyMJFXF8Dc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rigD2/btsEmVY88lg/chstFLOaKGLYIZchkX7j8K/img.jpg)
정자 주변에는 취석으로 짐작되는 크고 작은 고인돌들이 있다. 담장 내에 훼손되지 않은 크고 작은 지석묘 7기가 널려 있고 담장 밖으로 3기의 지석묘가 있어 옛 선사유적도 감상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hWdK/btsElLbFktF/h3xsxfafvyjClV4BL7We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ShEy/btsEjTO4iP4/PEokf5gUl1ptcaX4JOCU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ISwq/btsEkRpEwD8/4cAfzAeTeXuuTpDyPj8h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iBPX/btsEhUViEX4/EmZDUPvIXiEbSSr0PSYB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ibScG/btsElH1pWYi/5dauGo9ergUVNVw0hmPA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2tczM/btsEihv6J33/1uscxQUCBVDyjYp0h4k7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3szAF/btsEj9c6thY/ej9gMrsS1kas54RLoruN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DNa5/btsEkvmHM1b/X5SyPmqrkQQcerguXocLk1/img.jpg)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288> 순창 영광정(迎狂亭) 231107 (107) | 2024.03.05 |
---|---|
<한국누정287> 고창 삼호정(三湖亭) 231109 (110) | 2024.02.25 |
<한국누정285> 고창 석탄정(石灘亭) 231106 (103) | 2024.02.19 |
<한국누정284> 정읍 내장사 우화정(羽化亭) 231108 (102) | 2024.02.16 |
<한국누정283> 정읍 군자정(君子亭) 231106 (115) | 202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