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인천강변로 302 (용계리)
건립시기 : 영조 27년(1751), 고종 1년(1864) 재건축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3년 11월 9일, 맑음
삼호정(三湖亭)은 조선 영조 27년(1751)에 옥천 조씨인 인호 조현동(仁湖 趙顯東), 덕호 조후동(德湖 趙垕東), 석호 조석동(石湖 趙錫東) 삼형제가 인천강변에 은거하며, 글을 읽고 풍류를 즐기려 지은 정자이다. 삼형제 중 첫째는 인천강 이름을 따라 인호, 둘째는 강물의 성품을 따라 덕호, 셋째는 물의 여울 이름을 따라 석호라고 호를 지었다. 삼형제 호에 모두 호(湖)자가 있어 이 정자를 삼호정이라고 하였다. 세월이 흘러 정자가 허물어지면서 고종 1년(1864)에 후손 조윤모와 조한모 등이 다시 지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xhtbA/btsEm7FjLeE/JiAklXMrhNllNxEOMdWu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zQRV/btsEiAP0lfv/W3skeSITbAKsJZXDcZtk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HGpp/btsEiT27GAF/14qphgOGTyblvtM4zGzM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Bgk5/btsEncNmYTP/GrLwhKxFlBHm9bFaBtAP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eBBeR/btsEhJfCFrE/koglvXgIZL3PTdfR3yQJg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oJREn/btsEjT2Tuzo/Plv71NVBsYNonh5k3EuC60/img.jpg)
정자는 규모가 앞면 3칸, 옆면 3칸이고 지붕이 팔작지붕이다. 중앙에 자리한 방을 포함해 바닥은 전체가 마루인데 방 뒤쪽 가운데 마루는 한 단 높게 만든 누마루이다. 이런 평면 구조와 외관은 호남지방 정자의 일반적 특징이다. 또한 기초석 형태와 처마를 떠받치는 공포의 형식, 부재들의 짜맞춤 수법이 독창적이어서 건축학적 가치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KDRUf/btsEniGOG53/ddnkW3HsmzephshOsapy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9LQr/btsEngoG7qb/fWAkEibK9kQA4hQL7nXd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4XYom/btsEiy5I1bY/vV1yOIdHC3oEOhOmraTI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Q4Jg/btsEjEYYKMx/1eR08Sw5bAuRh9FURRz5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DFq4/btsEmSayPhi/ntKwnKSCHGHMDNTB9foc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e0Fm/btsEiTovCTJ/vcXBQ45NbJ58FgLUimIk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kcbXd/btsEm8c98dt/uCk6afKUkHloJE0HPE6G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f389/btsEni07C0P/KMmZKmpoxoPdasKxrr09G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N9bx/btsElLiKeXN/i20PvtTes7hUJGHcnUJ3V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vRHM/btsEkyjDLtw/bGsQ5WcKfHzK8d75kWwHLk/img.jpg)
정자에는 삼호정의 유래와 건립 목적을 쓴 조후동의 글과 삼형제의 시를 새긴 현판이 있다. 삼호정을 다시 세운 유래를 밝힌 송시열 후손인 송근수의 글과 일제강점기 고창 문인인 송태회,김정희, 김노수 등의 시를 새긴 현판도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MUTqP/btsEiBak02f/gR3EY7Pd3RJvl1YPxa7u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37nBS/btsEndyKqmY/8h6w3iRCGRWXvAMhhLC5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snnn/btsEmDShUh0/WtTbdGm0WOt81nQIo9mj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r5ul/btsEkwsBJKH/ck7YCPB5LMkuKLzRK2A5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QaSW/btsEiS4fHTU/c1AKCpfLwIHgJblKeoMZ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2An06/btsElH1IZtB/NzDKOQpK03oR4GVupoKW6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gcCsD/btsEigRN8G7/ehTgIExbEIqOegNc37oT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rPLHZ/btsElh9MYQT/0Ev7rDfF6Nk8GOUu0qrI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OX09W/btsEjFXQE3G/MuJyxBXObAgQed2wLjLO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buy9J/btsEhKlh5He/e2PwMHp66OG3HmZ3vSJY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GndC/btsEkhCrBnC/DmIat9D3G4bos3FTlLAcfK/img.jpg)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289> 순창 낙덕정(樂德亭) 231107 (106) | 2024.03.08 |
---|---|
<한국누정288> 순창 영광정(迎狂亭) 231107 (107) | 2024.03.05 |
<한국누정286> 고창 취석정(醉石亭) 231106 (93) | 2024.02.22 |
<한국누정285> 고창 석탄정(石灘亭) 231106 (103) | 2024.02.19 |
<한국누정284> 정읍 내장사 우화정(羽化亭) 231108 (102)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