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라남도 곡성군 입면 제월리 1016
건립시기 : 조선 중종 38년(1543), 1980년 수리
문화재지정 : 명승,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4년 4월 5일, 맑음
곡성 함허정(涵虛亭) 일원은 조선 중기 문사 제호정 심광형(齊湖亭 沈光亨, 1510~1550)이 군지촌정사(제호정 고택)를 짓고, 섬진강(순자강) 일대 구릉지에 건립한 정자의 일원이다. 함허정 일대는 풍수상 거북이 용궁을 향해 입수하는 형국으로, 거북의 등 위에 함허정이 자리하고 절벽 아래 용소와 구암조대라 불리는 하중암도가 있으며, 거꾸로 '용(龍)'자를 새긴 용암 관련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함허정(涵虛亭)은 조선 중종 38년(1543)에 심광형이 이 지역 유림들과 풍류를 즐기기 위해 지은 정자로 일명 호연정이라고도 한다. 증손자 심민각이 오래된 정자를 옛 터 아래쪽으로 옮겨 다시 지었으며 5대손 호연정(浩然亭) 심세익(沈世益)이 중수하였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80년에 수리를 한 것이다.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구성은 마루 1칸을 3면을 터 만들었고 2칸 반은 방으로 꾸몄다. 나머지 오른쪽 반 칸은 바닥을 한 단 높여 쪽마루를 두었다.
조선시대 호남의 4대 정자로 알려진 함허정은 아래로 흐르는 섬진강, 울창한 숲, 멀리 무등산이 보이는 경치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어서 옥과 현감 등이 향음례를 베풀거나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 같은 시인 묵객들이 시를 짓고 읊던 곳으로, 안에는 기문과 시문 등이 적힌 15개의 편액이 있다.
이곳에서 100m 가량 떨어진 곳에 심광형이 후학을 위해 지은 군지촌정사(제호정 고택, 중요민속자료)가 있다.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317> 화순 영벽정(映碧亭) 240404 (98) | 2024.07.14 |
---|---|
<한국누정316> 화순 임대정(臨對亭) 원림 240404 (103) | 2024.07.12 |
<한국누정314> 구례 방호정(方壺亭) 240405 (99) | 2024.06.19 |
<한국누정313> 구례 운흥정(雲興亭) 240405 (105) | 2024.06.16 |
<한국누정312> 장성 백양사 쌍계루(雙溪樓) 231108 (84)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