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줄댕강나무

학명  :  Abelia tyaihyoni Nakai

  • 인동과(Caprifoliaceae)
  • 댕강나무속(Abelia)
  •  
  • 낙엽활엽관목
  • 꽃말 : 영원한 사랑             
  •             
  • 잎은 대생하고 넓은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좁은 예저이며 길이 2-6㎝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와 가장자리에는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1-4㎜이다.
  •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와 늙은 가지에 여섯 줄의 홈이 있으며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 꽃은 양성화로 5월에 새가지 끝에 산방화서로 달리고 주홍색의 꽃봉우리가 맺으며 꽃은 연한 우유빛으로 피는데 꽃에는 은은하고 달콤한 향기가 있다. 포엽은 난형 첨두 심장저이며 꽃받침에 털이 있고 열편은 5개(간혹3-4개)이며 도피침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3-4mm로서 가장자리와 맥 위에 털이 있다. 화관은 길이 3-5mm로서 겉에 털이 있고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이고 암술대에 털이 없으며 자방은 길이 2mm정도로서 털이 있다.
  • 4개의 날개가 달린 종자는 9월에 익는다.
  • 높이가 1m에 달한다.
  • 분포지 : 평안북도, 황해도, 충청북도
  • (야생화클럽 웹식물도감)

  • 댕강나무는 의성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나뭇가지를 꺾으면 ‘댕강’ 하고 부러진다고 하여 ‘댕강나무’란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댕강의 뜻은 작은 쇠붙이가 부딪칠 때 나는 맑은 소리라고 하였으나, 우리가 알고 있는 ‘댕강’은 망나니의 칼 휘두름에 목이 달아나는 끔직한 장면이 상상된다. 사실 댕강나무를 부러뜨려 보면 댕강 하고 부러지지는 않는다. 왜 댕강이란 의성어가 붙었는지 그 사연이 궁금하다.

    어쨌든 댕강나무는 이름의 독특함 때문에 우리에게 친근하게 다가온다. 그러나 진짜 댕강나무를 만나기란 쉽지 않다. 분포지가 북쪽의 산악지방인데다 흔치 않아서다. 댕강나무는 우리나라 1세대 식물학자인 정태현 박사가 일제강점기 때 북한의 평안도 맹산에서 처음 발견했다. 덕분에 ‘Abelia mosanensis Chung’이라는 학명의 명명자(命名者)에 정 박사의 성이 들어 있다. 우리 식물 중에 이렇게 우리나라 학자의 이름이 들어간 경우도 흔치 않다. 불행히도 우리는 개화가 늦어지면서 다른 나라들에 비해 신학문의 받아들임이 한 박자 뒤처진 탓에, 우리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모두 외국인들이 먼저 학명을 붙여버렸다.

    댕강나무속은 세계적으로는 약 3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7~8종 정도가 자란다. 다만 분류가 복잡하여 아직도 확정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종이 있을 정도다. 이영노 교수는 댕강나무속의 큰집격인 댕강나무를 비롯하여 털댕강나무, 섬댕강나무, 바위댕강나무, 좀댕강나무, 주걱댕강나무, 줄댕강나무의 7종으로 분류하였고, 이창복 교수는 정선댕강나무와 큰꽃댕강나무(꽃댕강나무)를 더 넣어 9종으로 분류했다. 이처럼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 차가 있고, 종간의 특징이 명확하지 않아 구분이 더욱 어렵다.

    댕강나무속의 대표인 댕강나무는 키가 2~3미터가 고작인 작은 나무로 밑에서부터 줄기가 여럿으로 갈라진다. 잎은 마주보기로 달리며, 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댕강나무는 톱니가 없다. 특징적인 형태는 줄기에 여섯 개 전후로 세로 줄이 있어 육조목(六條木)이라고도 부른다. 이렇게 줄기에 골이 생기는 나무는 흔치 않으므로 다른 나무와 쉽게 구분된다. 진짜 댕강나무는 골이 아주 얕게 생기며, 털댕강나무나 줄댕강나무 등은 더 깊고 명확한 골이 생긴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댕강나무속의 나무들은 댕강나무 이외의 종(種)도 대부분 희귀수종이라서 만나기가 어렵다. 다만 원예 품종인 꽃댕강나무는 정원수로 널리 심기 때문에 비교적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일반 사람들이 댕강나무라고 부르는 수종은 대부분 꽃댕강나무다.

    꽃댕강나무는 이른 봄, 진한 녹색의 작은 잎을 단 가느다란 가지가 나올 때부터 사람들의 눈길을 끈다. 여름에 들어서면 가지 끝에 꽃이 피는데, 길이 2센티미터 정도의 작은 나팔모양의 붉은보랏빛 꽃통은 녹색 잎과 대비된다. 이 꽃통은 끝이 다섯 개로 갈라지면서 지름 1센티미터 정도의 하얀 꽃이 피어 늦가을까지 꽃 피기를 계속한다. 꽃에서 강한 향기를 내뿜어 금방 꽃댕강나무가 어디 있는지 찾아낼 수 있다. 꽃댕강나무는 다른 댕강나무가 낙엽이 지는데 반해 반상록이므로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에도 잎을 달고 있다. 댕강나무속의 영어 일반명은 속명 그대로 ‘아벨리아(Abelia)’라고 한다. 19세기 초 처음으로 중국에 들어간 식물학자이자 의사였던 영국인 아벨(Abel)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아벨리아란 이름은 이처럼 댕강나무속 전체를 말할 때도 있지만, 꽃댕강나무만을 가리키는 경우도 많다.
  •             
  • (우리 나무의 세계 2 | 저자박상진 | cp명김영사)


  • 줄댕강나무  (강원도 영월 창원리  2017년 5월 26일 촬영)














  • '야생화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채  (0) 2017.05.29
    뻐꾹채  (0) 2017.05.28
    백합나무  (0) 2017.05.28
    지치  (0) 2017.05.28
    애기풀  (0) 2017.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