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오미자

학명  :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 오미자과(Schisandraceae)
  • 오미자속(Schisandra)
  • 개오미자
  • 낙엽 활엽 만경목.
  • 꽃말  :  다시 만납시다
  •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
  • 분포지 : 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             
  • 잎은 호생하며 또는 단지에서는 속생하며 길이 7-10㎝ 폭 3-5㎝로서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예첨두 예저이며 뒷면 맥 위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5-3.0㎝이다.
  • 가늘며 드문 드문 분지하고 회갈색이 난다.
  • 꽃은 자웅이주로 6-7월에 피고 3~5송이의 꽃이 새로 나온 단지의 엽액에 각기 한송이씩 핀다. 꽃은 지름15mm로서 약간 붉은 빛이 도는 황백색이며 화피열편은 6-9개이고 길이5~10mm로서 난상 긴 타원형이며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다수로 둥근 화탁상에 모여있다.
  • 꽃이 핀 다음 화탁은 길이 3-5cm로 자라서 열매가 수상(穗狀)으로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서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구형 또는 도란상 구형이고 길이 6-12mm이며 여러개가 송이모양으로 달려 밑으로 처지고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열매는 신맛이 강하다. 건조하면 검은색을 띤 진홍색으로 변하고 쭈그러진 주름이 생긴다.
  • 길이 6~9m.
  • (야생화클럽 웹식물도감)
  • 나무 이름의 끝 글자가 자(子)이면 열매나 씨앗을 약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구기자, 복분자와 함께 오미자(五味子)는 자 자 돌림의 대표 약나무다.

    열매를 먹어보면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 가지 맛이 모두 섞여 있다 하여 오미자다. 실제로 미각이 얼마만큼 발달해야만 이 다섯 가지 맛을 다 구분할 수 있을까? 미각이 둔한 나는 기껏 찝찔한 맛을 느낄 따름이다. 오미자 화채나 차를 먹어보면 신맛이 강하여 그저 시금털털하다는 느낌이다. 《산림경제》에 보면 “육질은 달고도 시며 씨앗은 맵고도 써서, 합하면 짠맛(鹹味)이 나기 때문에 오미자라고 한다”라고 했다.

    오미자는 중국과 일본에서도 자라지만 우리나라에서 나는 것을 최고로 친 것 같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의 특산물로 기재되어 있으며, 세종 때는 50근에서 많게는 200근까지 중국에 보냈다는 기록들이 여러 번 나온다. 또 세종, 세조 때에는 일본에도 오미자를 특별히 보내준 기록들이 있다. 오늘날 오미자의 일본 이름을 ‘조선오미자’라고 쓰는 것도 우리의 오미자를 더 선호했다는 증거다.

    오미자는 갈잎 덩굴나무로서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만날 수 있다. 산기슭이나 계곡 등 수분이 많고 비옥한 땅을 좋아하고, 다른 나무를 타고 올라가면서 자란다. 약용으로의 수요가 많아 적어도 조선왕조 이전부터 밭에 심어서 키워왔으며, 지금도 경상북도 문경을 비롯하여 대량으로 재배하는 곳이 많다. 잎은 넓은 타원형으로 손바닥 반만 한 크기에 잎자루는 붉은 기가 있다. 꽃은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동전 크기로 피는데, 연분홍이거나 거의 흰색이다. 꽃이 지고 나면 꽃턱(花托)이 길게 자라 앵두처럼 빨갛고 굵은 콩알 크기의 열매가 포도송이처럼 조롱조롱 열린다. 암수가 다른 나무이므로 같이 심어야 열매를 맺는다.
  • (우리나무의 세계1)
  • 오미자  (강원도 함백산  2017년 5월 26일 촬영)


  • '야생화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장대  (0) 2017.05.31
    연영초  (0) 2017.05.31
    풀솜대  (0) 2017.05.31
    죽대  (0) 2017.05.31
    말냉이  (0) 2017.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