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누정/광주.전라도

<한국누정328> 함평 영파정(潁波亭) 241104 소재지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사장길 39 (기각리)건립시기 :세조 1년(1455), 1820년 재건축, 고종 20년(1883) 보수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답사일자 : 2024년 11월 4일,  맑음  영파정(潁波亭)은 세조 1년(1455) 단종의 폐위와 세조의 왕위찬탈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영파 이안(潁波 李岸,1414~?)이 자신의 호를 따서 지은 건물이다.처음 세운 시기는 1450~1460년대로 추정한다. 그 후 영파정은 함풍이 씨 가문에서 관리해 온 것으로 보이는데 자세한 사실은 밝혀지지 않았다. 정유재란(1597) 중에 불에 타 없어진 후 영수정이란 이름으로 다시 지었으며, 1820~1821년 사이에 군수 권복과 김상직이 현재와 같은 규모로 지었다. 그 뒤 고종 20년(1883).. 더보기
<한국누정327> 나주 정수루(正綏樓) 240402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금계동 13-18 건립시기 : 조선 선조 36년(1603) 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2일, 흐림 이 누각은 나주목 관아문으로 1603년(선조 36)에 나주목사로 부임한 동계 우복룡이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의 건물은 구조나 양식 등으로 보아 19세기에 크게 중수된 것으로 보인다. 이곳을 지나면 나주목 관아인 외동헌(제금헌)과 내동헌(금학헌)이 있었다. 지금은 내동헌인 목사내아만 남아 있다. 정수루 주변에는 목사를 보좌하던 향리들의 집무처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었으며, 동쪽으로는 나주목의 궁실인 나주객사 금성관과 금성관의 정문인 망화루 등의 관아 건물이 배치되었다. 정수루 큰북은 학봉 김성일(1583~1586 재임)이 나주목사로 재임하면.. 더보기
<한국누정326> 나주 금사정(錦社亭)과 동백나무 240402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송죽리 130 건립시기 : 중종 14년(1519), 1973년 재건축 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천연기념물(동백나무) 답사일자 : 2024년 4월 2일, 흐림 조선 중종 14년(1519)에 조광조를 구명하던 태학관 유생 11명이 낙향하여 금사정(錦社亭)을 짓고 금강11인계를 조직하여 정치의 비정함을 한탄하고, 후일을 기약하여 변치 않는 절개를 상징하는 동백나무를 심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원래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65년에 재건하고 1869년에 수리하였으며, 지금의 건물은 1973년에 새로 지었다. 동백나무는 숲을 제외하고 단목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사례가 없는데, 지금까지 조사된 가운데 가장 굵고 크며, 모양새도 반구형으로 아름답고 수세도 좋아 동백나무를 .. 더보기
<한국누정325> 나주 만호정(挽湖亭) 240402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철야1길 108 (철천리)건립시기 : 고려 초기, 조선 선조 34년(1601) 개축(만호정)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답사일자 : 2024년 4월 2일,  흐림   만호정(挽湖亭)은 나주지역의 대표적인 정자로, 덕용산 아래 있는 철천마을 입구에 자리잡고 있다.  정확하게 세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 전기에 지었다고 전한다. 처음에는 '무송정'이라 하였으며, 그 뒤 '쾌심정'으로 고쳤으나, 지금 있는 자리로 옮기면서 '영평정'이라 불렀고 선조 34년(1601)에 다시 고쳐 지으면서 '만호정'이라 부르게 되었다.[정사기] 와 [철야대동계안]에 기록된 내용에 따르면 이곳에서 향약과 동규가 시행되었다고 한다. 향약과 동규란 조선시대 시골 마을에서 마을 사람들이 스스로 만.. 더보기
<한국누정324> 나주 쌍계정(雙溪亭) 240402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2길 96-6 (금안리) 건립시기 : 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 때(1280년 경) 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4년 4월 2일, 흐림 쌍계정(雙溪亭)은 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 때(1280년) 전고에 밝아 세자이사와 세자사 등을 역임하였던 문정공 정가신(鄭可臣), 호남의 현사로 알려진 문숙공 김주정(金周鼎), 문현공 윤보(尹珤) 세 사람이 함께 지어 강학처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이로 인하여 삼현당(三賢堂)이라고도 불렸다. 그후 조선시대에는 정서, 신숙주, 신말주, 죽오당, 김건, 홍천경 등이 대를 이어 강학하던 곳이다. 건물형식을 보면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1단의 낮은 기단 위에 덤벙 주초를 놓고 둥근 .. 더보기
<한국누정323> 나주 벽류정(碧流亭) 240402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세지면 벽산벽류길 102 (벽산리) 건립시기 : 조선 인조 18년(1640), 철종 13년(1862) 중수 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4년 4월 2일, 흐림 벽류정(碧流亭)은 금천 상류에 자리 잡고 주변에 대나무와 느티나무 고목이 어우러진 멋진 경관을 지닌 정자이다. 벽류정 김운해(碧流亭 金運海, 1577~1646)가 조선 인조 18년(1640)에 정자를 짓고 그의 호를 따서 벽류정이라 이름 지었고, 숙종 4년(1678)과 철종 13년(1862)에 중수하였다. 원래는 세종 때 호조참판을 지냈던 조주(趙注)가 지은 별장이 있던 자리였으나 외손인 김운해에게 양여하여, 광산 김 씨의 소유가 되었다. 금성산을 뒤로하고 펼쳐진 평야 속에 자리한 3개의 언덕 중.. 더보기
<한국누정322> 나주 장춘정(藏春亭) 240402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화동길 13-10 (죽산리)건립시기 : 조선 명종 16년(1561), 1930년 중수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답사일자 : 2024년 4월 2일,  흐림  장춘정(藏春亭)은 마을 가까이의 경승지에 건립된 유실형(有室形) 정자이다. 처음 건립은 조선 명종 16년(1561)에 고흥유씨 유충정(柳忠貞, 1509~1574)이 하였으며, 1818년(순조 18)과 1930년에 중수한 건물로서 건립연대가 오래되었으며 옛 모습을 잘 보전하고 있다.장춘정이란 이름은 겨울에도 시들지 않는 숲과 사시장절 피는 꽃들이 항상 봄을 간직한 듯 하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유충정은 중종 29년(1534)에 무과에 급제하고, 부안.강진현감, 김해부사, 장흥부사, 온성부사 등의 수령을 지낸 뒤 벼슬을 .. 더보기
<한국누정321> 나주 기오정(寄傲亭) 240402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 74-1 건립시기 : 현종 10년(1669), 1981년 부분 보수 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2일, 맑음 나주 기오정은 영산강 강안의 높직한 대지 위에 건립되어 주변의 경치를 감상하기에 좋다. 기오정(寄傲亭)은 반남박씨 박세해(朴世楷, 1615~1698)가 55세 되던 해인 1669년(현종 10)에 지은 정자이다. 현판은 이광사의 친필로 전해지며 정자 이름은 중국 도연명의 [귀거래사]에서 땄다고 한다. 박세해는 1615년(광해군 7) 첨지중추부사 박호(남평현감 역임)의 둘째아들로 태어나 4살 때 어머니를 여의고 23세 때 불행하게 중병을 얻어 벼슬길에 나갈 수 없어 세거지인 양주를 떠나 요양 차 나주 회진으로 이주하여 정자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