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누정/광주.전라도

<한국누정272> 진안 수선루(睡仙樓) (보물) 231103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 57 건립시기 : 조선 숙종 12년(1686), 1888년 중수 문화재지정 : 보물(2019.12.30 지정) 답사일자 : 2023년 11월 3일, 맑음 수선루(睡仙樓)는 조선 숙종 때인 1686년에 연안 송씨 4형제인 송진유. 송명유. 송철유. 송서유가 아버지와 아버지의 친구들이 이곳에서 바둑도 두고 시도 읊으며 신선같이 늙지 않기를 기원하면서 건립한 2층 누각이다. 수선루라는 이름은 신선이 낮잠을 즐기며 유유자적한다는 뜻으로, 연안 송씨 4형제가 80세가 넘도록 아침 저녁으로 정자를 오르내리며 바둑도 두고 시도 읊는 모습이 옛날 중국 4호의 네 신선의 기상과 같다.'고 하여 붙였다고 한다. 수선루는 조선 고종 때인 1884년과 1888년에 송석노와 송.. 더보기
<한국누정271> 익산 함벽정(涵碧亭) 231105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동용리 산 572-4 건립시기 : 1920년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3년 11월 5일, 흐림 함벽정(涵碧亭)은 왕궁저수지가 준공된 1920년경, 이 고장의 부호였던 송병우(宋炳雨)가 주변의 빼어난 경치를 즐기기 위해 건립했다. 저수지 수문 옆 50여m 높이의 바위 위에 정자를 짓고 주변에 벚꽃 나무를 심었으며, 주변 연못에는 중국에서 들여온 하얀 연꽃을 심었다 한다. 푸른빛이 감도는 저수지의 맑은 물을 그려 이란 이름을 붙였다. 봄에 벚꽃이 만발하여 저수지 물에 비추일 때면, 정자 이름 그대로 풍경이 극치를 이룬다고 한다. 익산의 랜드마크인 보석박물관에서 300여m 왼쪽에 왕궁저수지가 있고, 저수지 수문 오른쪽 언덕 위에 함벽정이.. 더보기
<한국누정270> 무주 서벽정(棲碧亭) 231102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로 1868-30 (두길리) 건립시기 : 조선 고종 23년(1886), 고종 28년(1891) 재건축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답사일자 : 2023년 11월 2일, 맑음 서벽정은 무주 구천동 33경 안에 있는 정자이다. 서벽정이라 내비게이션을 치면 수성대 간판 앞에서 더이상 안내를 못한다. 주변 적당한 곳에 주차를 하고 이정표를 따라 약 300m 정도 걸어들어가면 학소대 표지판 위 언덕에 서벽정이 있다. 서벽정(棲碧亭)은 유학자 송병선(宋秉璿)이 고종 23년(1886)에 지은 정자이다. 송병선은 조선시대의 대학자인 송시열의 9세손이다. 평생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고종 22년(1885) 무주로 이주하여 후진 양성에 전념했다. 고종 42년(1905.. 더보기
<한국누정269> 무주 한풍루(寒風樓) (보물) 231102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한풍루로 326-5 (당산리) 건립시기 : 조선 초기 추정, 선조 32년(1599) 재건축, 1971년 현위치 복원 문화재 지정 : 보물(2021.6.24 지정) 답사일자 : 2023년 11월 2일, 맑음 한풍루(寒風樓)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다. 선조 때 백호 임제가 호남의 삼한이라 일컬어지는 무주 한풍루, 남원 광한루, 전주 한벽당 중 으뜸으로 꼽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던 곳이다. 조선시대부터 수많은 명사와 시인, 묵객들이 글과 그림을 남기며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무주 지역의 역사와 정치, 문화 성숙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풍루가 원래 있던 곳은 관아 앞으로 지금의 무주우체국 자리이다. 건립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5세기 김담, 성임, 유순이 한풍루를.. 더보기
<한국누정268> 전주 추천대(楸川臺) 231105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추천로 48-23 (팔복동3가) 건립시기 : 대한제국 광무 3년(1899)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답사일자 : 2023년 11월 5일, 흐림 이 정자는 조선 성종 때 병조참판. 대사헌 이라는 높은 벼슬을 지낸 추탄 이경동(楸灘 李瓊仝)이 고향에 돌아와 앞의 추천에 낚시를 드리우고 만년을 보내던 곳이다. 이경동은 세조 8년(1462)에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선 인물이다. 대한제국 광무 3년(1899)에 후손 이정호(李正鎬)가 이경동의 발자취가 서린 이곳을 기념하기 위해 정자를 세우고 추천대(楸川臺) 라 이름 지었다. 추천대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정자로 마루형 팔작지붕 건물이다. 더보기
<한국누정267> 전주 오목대(梧木臺) 231105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55 (교동) 건립시기 : 고려 우왕 6년(1380)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답사일자 : 2023년 11월 5일, 흐림 오목대(梧木臺)는 고려 우왕 6년(1380) 남원 운봉 황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찌른 이성계가 돌아가는 길에 잠시 머물면서 종친들과 전승축하잔치를 벌린 곳으로 유명하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대한제국 광무 4년(1900)에 비석을 건립했는데, 태조가 잠시 머물렀던 곳이라는 뜻의 라는 비문은 고종황제가 직접 쓴 친필을 새긴것 이다. 이목대는 이성계의 5대 할아버지인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의 출생지라고 전해지는 곳이다. 전주 이씨들은 이안사 때까지 줄곧 이곳에서 살다가, 함경도로 이사했다고 한다. 고종 광무 4년(1900)에, .. 더보기
<한국누정266> 전주 한벽당(寒碧堂) 231105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2 (교동) 건립시기 : 조선 태종 4년(1404)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3년 11월 5일, 흐림 승암산 기슭 절벽을 깎아 세운 이 누각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운 문신 최담(崔담)이 전주로 낙향하여 태종 4년(1404)에 별장으로 지은 건물이다. 처음에는 그의 호를 따서 월당루라 했으나, 여러 차례 중수하면서 한벽당(寒碧堂)으로 바뀌었다. 한벽당은 남원의 광한루, 무주의 한풍루와 함께 호남의 삼한(三寒)으로 알려져 시인 묵객들이 찾아와 시를 읊고 풍류를 즐겼다. 현재 한벽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집으로, 전체가 마루인 구조이다. 표면이 고르지 않은 암반에 맞추어 높낮이가 다른 돌기둥을 사용하였다. 삼면이 개.. 더보기
<한국누정265> 남원 광한루(廣寒樓)(보물) 231110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요천로 1447 (천거동) 건립시기 : 세종 원년(1419) 광통루, 인조 16년(1638) 재건축 문화재지정 : 보물(1963.1.21 지정), 명승 답사일자 : 2023년 11월 10일, 맑음 남문 밖을 나가면 광한루, 오작교, 영주각이 있아온디 삼남 제일승지니 처분하여서 가옵소서 늬말을 듣더라도 광한루가 제일 좋구나 광한루 구경가게 나귀 안장 속히 지어 사또님 모르시게 삼문 밖에 대령하라 중에서 남원의 광한루(廣寒樓)는 춘향전을 통해서 우리에게 익숙해진 누각이다. 광한루원은 우리나라 관아원림을 대표하는 고정원으로 우리나라 조경사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 지방관아에서는 누각을 지어 경영한 예가 많았다. 남원의 광한루를 비롯해 밀양의 영남루, 삼척의 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