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백운면 평노길 117 (노촌리)
건립시기 : 조선 고종 6년(1869)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답사일자 : 2023년 11월 3일, 맑음
영모정(永慕亭)은 조선 고종 6년(1869)에 효자 신의련의 효행을 기리고 그를 본받기 위해 세운 누정이다. 신의련은 임진왜란 때 병든 아버지를 간호하던 중 왜적이 쳐들어오자 아버지만은 살려 달라고 청하였다. 그의 효성에 감동한 왜장이 신의련의 이름을 종이에 써서 태우니 타지 않고 하늘로 날아올랐다고 한다. 이에 놀란 왜장이 마을 밖에 '효자가 사는 곳' 이라는 방을 세우고 왜적이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이로 인하여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이곳으로 피난하여 살아남은 사람이 5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영모정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2층 누정 건축으로 지붕은 얇은 돌조각을 기와처럼 이은 돌 너와를 사용하였다. 정자 아랫부분 네 기둥에는 거북 머리 모양의 둥근 받침돌을 사용하고 있다. 영모정 주변에는 미계 신의련(美溪 愼義蓮) 유적비와 효자각 등 관련 유적이 모여 있다.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275> 장수 용연정(龍淵亭) 231110 (110) | 2024.01.14 |
---|---|
<한국누정274> 장수 자락정(自樂亭) 231110 (117) | 2024.01.11 |
<한국누정272> 진안 수선루(睡仙樓) (보물) 231103 (104) | 2023.12.26 |
<한국누정271> 익산 함벽정(涵碧亭) 231105 (96) | 2023.12.23 |
<한국누정270> 무주 서벽정(棲碧亭) 231102 (98) | 2023.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