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
건립시기 : 조선 명종 13년(1558), 고종 8년(1871) 재건축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호가정 입구에는 호가정이 광주.전남 8대정자 선정 위원회에서 4번 째 정자로 선정되었음을 알려주는 간판과 호가정 이야기 간판이 있어 호가정의 대략적인 내력을 알 수 있으나, 호가정의 보수공사로 인해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다행히 공사가 마무리 단계여서 관계자의 허락을 받아 정자에 오를 수 있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K4aqS/btsGKvrhUma/RAG0aMBSR1oOLK5mkQosX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R0SS/btsGLikuu1M/XOox0EeaKGBzqzGUm7m5z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klPz/btsGK5Z0mfb/noNCCj6CDNZQBMzNKlic4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3ve6J/btsGKbTXPTn/6MuUko57InVXQbKWNoKA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6pax/btsGJlQiwKt/m30hrzkUWRd09LAEnr1Q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Z1eh/btsGJl3P9J0/nK3mN9IOJ6N1CB9r6tXZE0/img.jpg)
호가정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좌우에 정자의 주인공 설강 유사 선생의 시비가 서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vOBXd/btsGIOFqyAs/eUpZ7im9Gxht0P5vM466N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VtDp/btsGKKu2wJn/gV5x55BDdk98PL17MX5Ur0/img.jpg)
호가정(浩歌亭)은 조선시대에 설강 유사(雪江 柳泗, 1502~1571)가 지은 정자로,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중국 송나라 소강절이 말한 '호가지의'에서 따온 것으로, 산수간에 이는 흥취를 읊조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하여 크게 소리를 내어 노래한다는 뜻이다. 명종 13년(1558)에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불타 없어지고 고종 8년(1871)에 다시 지었다. 그 뒤 1932년과 1956년에 고쳐 지었다.
설강은 중종.명종대의 인물로 여러 관직을 지냈으나, 다른 관료의 모함으로 벼슬을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는 당시 이름 높은 유학자들과 교우하였으며, 후대 사람들이 그의 시를 즐겨 읊었다. 죽은 뒤 광주 경렬사에 신위를 모셨으며, 그의 글로는[설강유고집] 과 [위친필봉제축유서]가 전하고 있다.
정자는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정자 안에는 '호가정'이라 새긴 현판이 걸려있고, 유사의 호가정 원운과 기를 비롯하여 기정진의 중건기, 유보한의 중수기, 이안눌,오겸, 김성원 등의 제영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0noR4/btsGKNrKyXK/fUkLGcvbpVQB0d0auCLyM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HHOIR/btsGLEt4Zgt/lwZbTBH7LSGjMuZDgIOMF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pAOmZ/btsGJPjhqpk/X6hXtmStlrUmwFyHcLPd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flZh/btsGIOFqyan/YYXAsrbPk1v1F9uqpz2d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eNdqM/btsGLASKGoo/lggc7udo5PrUAzTsIBsH3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qPJm/btsGLuynKYw/epKfvCaz1F9F3cvwK2GIS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20RqS/btsGJlbJb8A/F29MpkVvmfKn5Y5qzh4k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rmRqb/btsGLtsJynB/YVVlTIaKjqd8jZJ9J61P0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O9Nr/btsGJnUSTpy/MvUIuLnKPGFVQFKIzk6X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tS5xh/btsGJeKxxuS/8NjdFRYkRd0h5W7CCFCE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p2b2/btsGKKV6lT5/viFsNSvkC3k3mXwpe8yLC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z4NV/btsGKbNcrXl/ddFvZBSXONI8WZHQI5fKh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9qTC/btsGKwjsaDj/UeKMsB6kiw84w4Opxjrp1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QFYj/btsGI6Z8RUM/agru5DeoyJqEzKHFvKiKx1/img.jpg)
호가정이 위치하는 지역은 극락강과 황룡강이 합류하는 지점으로 영산강6경에 해당한다.
![](https://blog.kakaocdn.net/dn/ocV8A/btsGKWhTrOp/WOiwbtX5JZKrlqKyjfV4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6k2pi/btsGI5Us7e2/Nhy1Evz0GeG8LuhT0X65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zcLP/btsGLIiRMVC/705XCsv96AjIRKp6FLWe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5MuJ/btsGI7SfpEt/gcyygbQcv6HzMzhyVa7T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yGvEq/btsGJfpbM5I/P7ktEhhP17qrKKoWJrhMn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yPbk0/btsGK8vzOci/7smy15ddCUR1kikcksy6f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NOxg/btsGJM1ctaj/C55HWUuAFnlaQJfDYiS6W1/img.jpg)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301> 광주 양과동정(良瓜洞亭) 240403 (117) | 2024.04.29 |
---|---|
<한국누정300> 광주 부용정(芙蓉亭) 240403 (103) | 2024.04.27 |
<한국누정298> 광주 만취정(晩翠亭) 240403 (102) | 2024.04.21 |
<한국누정297> 광주 풍영정(風詠亭) 240401 (95) | 2024.04.18 |
<한국누정296> 광주 만귀정(晩歸亭) 240401 (83)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