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고싸움로 2 (칠석동)
건립시기 : 조선 태종 12년(1412)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부용정(芙蓉亭)은 부용 김문발(芙蓉 金文發, 1359~1418)이 세운 정자이다. 김문발은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활동한 인물로 경기.충청.경상.전라 4개도의 수군도절제사와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하였으며 왜적을 물리친 공이 크다. 잠시 관직에서 물러나 있는 동안(1411~1412) 칠석동에 부용정을 짓고, 향민과 함께 향약을 시행하여 향촌 사회의 공동체 결속과 풍속 교화에 힘썼다. 부용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향약 시행지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광주 향약의 유래가 되었다.
부용정의 구조는 정면과 측면이 세 칸으로 같고, 측면에서 보면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부용은 연꽃을 상징하는데, 원래 정자 인근에 연꽃이 심어진 연못이 있었으나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https://blog.kakaocdn.net/dn/ycoPS/btsGKUFEU3m/J04W8VRN8D7Qapztqw9Rp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2mpBV/btsGNfnFcAz/ahv3kT3Hwg0ZkTHKSTLL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nZXO8/btsGKT0604p/R060mUNhETmW5eHmWsTN4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qTQR/btsGMRHuBEA/C2QLKIA4BvrQoQeNHvJ4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YKp3/btsGLAT9mYx/Jg0KH6vuUDCyko1svKvBd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Qiuz/btsGLumd5xV/14fCKxayI6FSxw9kZUF8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wgsE/btsGLGmp8dS/4Nx44rbuk5Xt2Jx6pOb5Xk/img.jpg)
부용정에는 부용정 현판이 두 개가 걸려 있는데, 조선 후기 3대 명필 중에 하나인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의 필적으로서 어쩌다가 현판을 잃어버려 새로 제작해서 걸었는데 뒤에 잃어버린 현판을 찾게 되자 같이 걸었다고 한다. 창암이 남긴 몇 안되는 필적 중에 하나이다.
![](https://blog.kakaocdn.net/dn/QNwUq/btsGLgVRkem/tbn7TatJzyVtuvKvuEdy0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3WCsL/btsGNCJGLLx/hjyfemWhqseKYEmUdaf3D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2cUn5/btsGMiex9fj/Vnp9FWDX3f8ychitLicQf0/img.jpg)
정자 안에는 문발의 부용정 원운, 양응정(梁應鼎), 고경명(高敬命), 이안눌(李安訥) 등의 시가 걸려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t8y0s/btsGMByfeAu/hkOGxFXXeNwd4h7KOYKL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Rze8p/btsGNA6aKpN/seS0l1oe0ghx5u07xKW5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hkMj/btsGM2vlm5l/Td2X1zWp2AvfT2lwBQO3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abnTe/btsGM1Xw7FK/Ce5I4700e7CDyHDAu11K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W3Sl/btsGMgHMWIt/Ba98YresafLw3oGN78T3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A8zCh/btsGKWKh5Nh/UyrxXuFHr80fBOFEdTah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yAbP2/btsGNBKNw5J/DunZZ1zKOny0bJ3NvUuu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VTsf/btsGK3bpEJY/SN0P3AASr4nbaMDrqDHAB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DckC/btsGNBD0RZ2/uWHHQp7DlS0UpAZbZU0b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cmFJ/btsGLD4oHGb/7WoML6tsXteQ7WkeEcsul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Nwnm/btsGNtsyXu1/c0Sjt2doJhfQuFOupKiL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wHFL/btsGMIKEcSD/EZkKTyjUHsuO41va9WVzNk/img.jpg)
정자 주변에는 김문발이 심었다는 수령 800년의 은행나무(기념물 제10호)가 있고, 칠석마을 고싸움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33호) 전수관이 있다.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302> 담양 소쇄원(瀟灑園) 광풍각(光風閣) 230818 (92) | 2024.05.10 |
---|---|
<한국누정301> 광주 양과동정(良瓜洞亭) 240403 (117) | 2024.04.29 |
<한국누정299> 광주 호가정(浩歌亭) 240403 (100) | 2024.04.24 |
<한국누정298> 광주 만취정(晩翠亭) 240403 (102) | 2024.04.21 |
<한국누정297> 광주 풍영정(風詠亭) 240401 (95) | 202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