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누정

<한국누정343> 순천 은봉조대 빙월정(氷月亭) 241108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우산리 산 54-10건립시기 : 1923년문화재지정 : 순천시 향토문화유산자료답사일자 : 2024년 11월 8일, 맑음 순천 송매정을 찾아 헤메다가 우연히 예정에 없던 송매정의 주인 안방준 선생의 유적지 중 하나인 빙월정을 발견하였다.빙월정은 고인돌길을 따라 가다가 송매정 진입로를 지나 50여m되는 곳에 오른쪽 산지에 있다. 안내표지판이 낡아 전혀 글씨를 알아볼 수 없어서 처음에는 이곳이 송매정인줄 알았다가 정자의 현판을 보고 별개의 정자임을 알았고, 검색을 통해서 안방준 선생의 또 다른 유적지 정자임을 알았다. 순천 빙월정(氷月亭)은 원래 우산리 앞의 보성강 순호의 돌벼랑 위에 서 있었다. 절벽의 양머리가 호수에 들어가 은봉 안방준(隱峰 安邦俊, 1573~1.. 더보기
<한국누정342> 순천 송매정(松梅亭) 원림 241108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고인돌길 523-8 (우산리)건립시기 : 광해군 6년(1614), 1817년 송매정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답사일자 : 2024년 11월 8일, 맑음 순천 송매정은 송광면 우산리 고인돌길을 따라 달리다가 고인돌공원 주차장을 지나자마자 오른쪽으로 벗어나는 포장도로가 나오고 길옆에 송강정 입구라는 입석 표지판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면 오른쪽에 농가가 한 채 나오고 그 농가와 숲에 가려진 건물이 있는데 이곳이 송매정이다. 아래에서 보면 숲에 가려서 정자가 잘 보이지 않지만 돌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숲 속에 오래된 건물 한 채가 웅크리고 있다. 송매정(松梅亭)은 은봉 안방준(隱峰 安邦俊, 1573~1654)이 조선 광해군 6년(1614)에 소뫼마을에.. 더보기
<한국누정341> 순천 선암사 강선루(降仙樓)와 승선교(昇仙橋) 241108 소재지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450 (죽학리)답사일자 : 2024년 11월 8일, 맑음 강선루(降仙樓)는 순천의 산지승원 태고종 총림인 선암사의 진입로 입구에 있는 누각이다. 통상 사찰의 누각은 일주문 안쪽에 위치하는데 선암사만은 일주문 훨씬 못 미쳐서 누각이 있다. 계곡을 옆에 끼고 구불구불 돌아가는 길가에 거대한 암벽이 있고 암벽과 계곡 사이에 기둥 두 개가 계곡에 뿌리를 박고 강선루가 서있다. 거대한 암벽에는 수많은 글씨가 새겨져 있지만 읽어보기는 어렵다. 강선루(降仙樓)란 이름은 신선이 내려와 노니는 누각이란 뜻이다. 신선이 내려와 머무는 곳이니 그 경치와 운치가 빼어난 곳일 수 밖에 없다. 선암사를 창건한 도선국사는 풍수지리의 대가로 조계산 장군봉에서 흐르는 기운이 선암사 .. 더보기
<한국누정340> 보성 취송정(翠松亭) 241107 소재지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고읍2길 11-14 (고읍리)건립시기 : 1787년, 1988년 중수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답사일자 : 2024년 11월 7일, 맑음 보성 취송정은 삼대문 형태의 솟을 대문이 웅장한 모습으로 완강히 버티고 있다. 다행히 관리인의 전화번호가 있어서 전화를 하니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살림집 대문을 열고 취송정의 뒷면을 통해 들어갈 수 있었다. 문화유산청의 취송정 설명에는 세운 시기와 사람을 정확히 알 수 없다고 되어 있으나, 현지 안내판에는 1787년에 박기진이 세웠다고 되어 있다. 취송정(翠松亭)은 순천박 씨의 집성촌인 고읍리 마을 안쪽에 있는 별당형 정자로 1988년 기와 보수 공사 때 발견된 상량문에 .. 더보기
<한국누정339> 보성 열화정(悅話亭) 241107 소재지 :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강골길 32-17 (오봉리)건립시기 : 조선 현종 11년 (1845)문화재지정 : 국가민속문화유산답사일자 : 2024년 11월 7일, 맑음 보성 열화정은 아름다운 분위기를 간직한 강골마을 뒤 깊숙한 숲 가운데 자리하는 정자로 강골마을의 공동소유이다. 강골마을은 조선시대 한옥의 참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전통마을이다. 39개 가옥 가운데 3개의 가옥과 1개의 정자가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으로 문화적,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작은 개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2개의 기둥을 세워서 만든 작은 일각문이 있고, 그 뒷쪽 마당을 지나면 높은 곳에 정자가 있다. 열화정(悅話亭)은 조선 헌종 11년(1845)에 조선 후기의 문신 이제 이진만(怡齊 李鎭晩, 179.. 더보기
<한국누정338> 장흥 동백정(冬柏亭) 241107 소재지 :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흥성로 815-86 (만년리)건립시기 : 세조 4년(1458), 1985년 개축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답사일자 : 2024년 11월 7일, 맑음 동백정은 장흥군 장동면 만년리, 탐진강 지류인 부산천변 언덕 위 소나무숲 속에 숨은 듯이 앉아 있다. 부산천 건너편 둔치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압권이다. 물을 가둔 보를 건너 동백정으로 간다. 보를 건너면 작은 주차장 옆에 동백정 비석과 동백정을 처음 세운 김린의 유허비가 있다. 동백정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길가에 온통 동백나무가 즐비하다. 동백꽃이 피는 2~3월에 방문하면 좋을 듯하다. 동백정(冬柏亭)은 조선 태조부터 네 임금을 섬기면서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동촌 김린(金潾,1392~1474)이 관직에서 은퇴.. 더보기
<한국누정337> 장흥 용호정(龍湖亭) 원림 241107 소재지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용반1길 213-34 (용반리)건립시기 : 순조 28년(1828), 1947년 증개축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답사일자 : 2024년 11월 7일, 맑음 네비게이션은 용반1길을 달리다가 낭주최씨용호정 입구라고 씌여있는 작은 안내석 앞에서 멎으며 다 왔다고 한다. 여기서 포장된 산길을 조심스럽게 100m가량 내려가면 조그마한 주차 공간이 나온다. 호은 최선생 행적비 옆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가면 용호정이 있다. 용호정(龍湖亭)은 비가 와서 강물이 넘치면 강 건너 부친의 묘에 성묘를 하지 못하고, 바라만 보며 명복을 빌던 아버지 최영택을 위해 맏아들 최규문(1784~1854)이 조선 순조 28년(1828)에 지은 정자로, 최규문의 부친에게는 '부친을 바라보는 정자.. 더보기
<한국누정336> 장흥 부춘정(富春亭) 원림 241107 소재지 :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부춘길 79 (부춘리)건립시기 : 선조31년(1598), 헌종 4년(1838) 재건축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답사일자 : 2024년 11월 7일, 맑음 장흥 부춘정(富春亭)은 장흥군 부산면 부춘리 수려한 탐진강이 내려다보이는 마을 어귀에 있다. 강변을 따라 소나무숲과 어우러져 부춘정 원림으로 불린다. 부춘정(富春亭)은 임진왜란(1592년), 정유재란(1597년) 때 혁혁한 공을 세운 청영 문희개(淸潁 文希凱, 1550~1610)선생이 고향으로 돌아와 선조 31년(1598)에 지은 정자로 원래는 문희개의 호를 따서 '청영정'이라 하였으나, 헌종 4년(1838)에 청풍김씨 동강 김기성(金基成, 1801~1869)이 남평문씨로부터 고터를 사들여 현재의 정자로 재건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