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누정

<한국누정335> 영암 회사정(會社亭) 241105 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구림로 140 (서구림리)건립시기 : 조선 명종 20년(1565), 1985년 복원답사일자 : 2024년 11월 5일, 맑음 구림마을의 회사정(會社亭)은 영보리의 영보정, 장암리의 장암정과 함께 영암의 대표적 향약 집회소이다. 회사정은 조선 명종 20년(1565) 박규정, 임호 등에 의해 지어진 정자로, 현재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는 호남의 대표적인 동약인 구림 대동계의 집회 장소이다. 회사정은 인조 24년(1646)부터 8년에 걸쳐 대규모로 고쳐 지었다. 이후 한국전쟁으로 불에 타 사라졌다가 1985년에 복원되었다. 귀빈의 영접, 경축일 또는 왕실에 초상이 있을 때 행사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3.1운동 때에는 집회 장소로 이용되기도 했던 역사적인 장소이다. 회사정.. 더보기
<한국누정334> 영암 장암정(場巖亭) 241105 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무덕정길 63 (장암리)건립시기 : 조선 현종 9년(1668), 고종 17년(1880)중수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답사일자 : 2024년 11월 5일, 맑음 장암정(場巖亭)은 장암 대동계에서 현종 9년(1668)에 동약의 모임 장소로 지은 정자이다. 마을 유생들이 모여 향약을 읽으며 잔치를 하던 향음주례, 백일장, 회갑연 등과 나라의 행사가 있을 때 쓰이던 곳이다.동약이란 조선시대 시골 마을에서 마을 사람들 스스로 만들어 놓은 규칙으로 좋은 일은 서로 권유하고 잘못은 서로 바로 잡아주며, 어려운 일이 있으면 서로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 있는 정자는 영조 36년(1760), 정조 12년(1788), 순조 19년(1819)에 각각 고쳐 지었으며, 고종 .. 더보기
<한국누정333> 영암 영보정(永保亭) (보물) 241105 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정길 10-8 (영보리)건립시기 : 15세기 중반, 인조 13년(1635) 현 위치 중건문화재지정 : 보물 (2019.12.30 지정)답사일자 : 2024년 11월 5일, 맑음 영보정(永保亭)은 구림의 회사정, 장암의 장암정과 함께 영암의 대표적 향약 집회소이다. 향촌사회가 재편되어 가던 15세기 중반 혹은 후반에 이곳에 정착한 전주최씨와 거창신씨 일족에 의하여 창건되고, 임진, 정유의 왜란 이후 1635년(인조 13) 경 중건되었으며, 이후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 영암 지역의 대표적인 누정이다. 이웃 장암정과 함께 동계의 회합 장소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향약 정자로서 보기 드문 희소성을 가지고 있다. 민간이 운영한 향촌의 누정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큰.. 더보기
<한국누정332> 영암 부춘정(富春亭) 241105 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배달리길 79 (망호리)건립시기 : 광해군 10년(1618), 현종 13년(1672) 중수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답사일자 : 2024년 11월 5일, 맑음 부춘정(富春亭)은 조선 후기 강진에서 영암으로 입향한 진주 강 씨 문중의 청암 강한종(淸菴 姜漢宗 : 1549~1622)이 광해군 10년(1618)년에 교류 및 학문 연마를 위해 지었다. 강한종은 무과에 급제한 후 평양판관 겸 병마절제사를 지내고 임진왜란에도 참전하였다. 광해군 때에 난정에 상소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귀향하여 지금의 위치에 부춘정을 마련하고 학문의 장으로 삼았다. 부춘정은 현종 13년(1672), 고종 3년(1866) 등 몇차례 고쳐 지었는데, 안쪽이 전부 방으로 구성된 구조로 보.. 더보기
<한국누정331> 영암 영팔정(詠八亭) 241105 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하정길 8 (모산리)건립시기 : 조선 태종 6년(1406), 숙종 5년(1689) 중수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1987.1.15지정)답사일자 : 2024년 11월 5일,  맑음   영팔정(詠八亭)은 고려말~조선초 문신인 하정 유관(夏亭 柳寬 , 1346~1433)이 주위 경치에 감탄하여 아들 맹문에게 시켜 조선 태종 6년(1406)에 지은 정자이다. 처음에는 모산리의 '모'자와 호인 하정의 '정'자를 따서 '모정(茅亭)'이라고 불렀으나, 훗날 율곡 이이.고경명.남이공. 유상운 등이 주변경관을 팔영시(八詠詩)로 읊어서 '영팔정'으로 바뀌었다. 숙종 15년(1689)에 영의정을 지낸 후손 유상운이 건물을 고친 것 외에는 수리한 내력이 알려져 있지 않다.  정자 규모는 .. 더보기
<한국누정330> 목포 유달산 정자들, 대학루.달선각.유선각.관운각.소요정 소재지 :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로 180(죽교동), 유달산대학루(待鶴樓). 달선각(達仙閣). 유선각(儒仙閣). 관운각(觀雲閣). 소요정(逍遙亭)답사일자 : 2022년 6월 18일, 맑음   노령산맥의 서남단 끝자락에 위치한 유달산은 기암괴석으로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목포시내와 다도해를 한눈에 굽어 볼 수 있는 목포의 명산이다. 이 산에는 입구의 노적봉에서부터 출발하여 산정까지 다섯 개의 정자가 있다. 비록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진 못했지만 나름의 유래와 역사를 안고 있으며 경치가 좋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유달산을 오르는 사람들의 좋은 휴식처가 되고 있다.  대학루(待鶴樓) : 학을 기다린다는 뜻 - 삼학도가 가까이 보인다.   대학루에서 내려다보는 목포시내 풍경   달선각(達仙閣)  : 드디어 신선이 되.. 더보기
<한국누정329> 무안 식영정(息營亭) 241104 소재지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영산강로 2318-16 (이산리)건립시기 : 1630년, 1983년과 2004년 개축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답사일자 : 2024년 11월 4일, 맑음 무안 식영정으로 네비를 치면 큰길(825번지방도)에서 벗어나 산길을 따라 식영정 뒷길로 안내를 한다. 이 길로 가지 말고 큰길을 따라 100m 정도 더 가면 사진에서 보이는 강변길( 자전거도로)이 나오고 강변길을 따라 왼쪽으로 들어가면 식영정 앞에 꽤 넓은 주차장이 있다. 주차장에서 왼쪽 언덕 돌계단을 올라가면 넓은 공지와 울창한 숲속에 식영정이 있다. 무안 식영정(息營亭)은 한호 임연(閑好 林堧, 1589~1648) 선생이 1630년에 무안에 입향 이후 강학소요처로 지은 정자로 영산강과 그 주변의 경.. 더보기
<한국누정328> 함평 영파정(潁波亭) 241104 소재지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사장길 39 (기각리)건립시기 :세조 1년(1455), 1820년 재건축, 고종 20년(1883) 보수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답사일자 : 2024년 11월 4일,  맑음  영파정(潁波亭)은 세조 1년(1455) 단종의 폐위와 세조의 왕위찬탈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한 영파 이안(潁波 李岸,1414~?)이 자신의 호를 따서 지은 건물이다.처음 세운 시기는 1450~1460년대로 추정한다. 그 후 영파정은 함풍이 씨 가문에서 관리해 온 것으로 보이는데 자세한 사실은 밝혀지지 않았다. 정유재란(1597) 중에 불에 타 없어진 후 영수정이란 이름으로 다시 지었으며, 1820~1821년 사이에 군수 권복과 김상직이 현재와 같은 규모로 지었다. 그 뒤 고종 20년(188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