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

<한국누정028> 여주 영월공원 영월루(迎月樓) 220321 소재지 : 경기도 여주시 주내로 13(상동 132), 영월공원 내 건축시대 : 근대, 1925년 이건 건물규모 및 구조 : 정면 3칸, 측면 2칸, 지붕은 겹처마 촬영일자 : 2022년 3월 21일, 맑음 여주시 여흥동에 세워진 영월루(迎月樓)는 본래는 조선시대 여주관아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던 것인데, 1925년 여주관아가 근대식 건물로 대체되는 과정에서 당시 군수 신현태가 지금의 자리로 옮겨 보존되었다고 한다. 명칭 역시 '기좌제일루(畿左第一樓)'에서 '영월루(迎月樓)'로 변경했다고 한다. 여주 지명의 유래가 되는 마암(馬巖)이란 글귀가 새겨진 절벽위에 우뚝서있어 운치를 더해준다. 건물구조는 중층누각 형태의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계의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익공의 형태나 가구수법으로 미루어 18세.. 더보기
<한국누정027> 이천 도립리 육괴정(六槐亭) 220329 소재지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도립리 735번지 건립 시대 : 조선 중종 건물규모 및 구조 : 정면 9m, 측면 3.78m의 목조 건물, 팔작지붕에 한식 골기와 문화재 지정 : 이천시 향토유적 제13호(1986.4.14지정) 촬영일자 : 2022년 3월 29일, 맑음 조선 중종 14년(1519) 기묘사화로 조광조를 중심으로 이상정치를 추구하던 신진사류들이 크게 몰락하였다. 이때 난을 피해 낙향한 남당(南塘) 엄용순(嚴用順)이 건립했다는 정자이다. 처음에는 초당이었으나 그 후 수차례의 중건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육괴정(六槐亭)이란 이름은 당대의 명현인 모제 김안국, 규정 강은, 계산 오경, 퇴휴 임정신, 성두문, 엄용순 여섯 선비가 모여 시회와 학문을 강론하며 우의를 기리는 뜻에서 정자 앞에 못을.. 더보기
<한국누정026> 이천 안흥지 애련정(愛蓮亭) 220410 소재지 : 경기도 이천시 안흥동 404, 안흥지 내 건축 : 조선 초기 문화재 지정 : 이천시 향토유적 제15호(1997.8.1지정) 건물규모 및 구조 : 정면 3칸, 측면 2칸, 중층 겹처마 팔각지붕 촬영 일자 ; 2022년 4월 10일, 맑음, 벚꽃 만개 애련정(愛蓮亭)이 처음 건축된 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원래 객사 남쪽에 예부터 정자가 있었는데 작고 좁은 데다 몇 년간 수리하지 않아 퇴폐하였는데, 세조 12년(1466) 이천부사 이세보가 옛 정자가 있던 자리에 새로 정자를 지었다. 정자 아래 습지를 모나게 연못을 파 연꽃을 심고, 정자 이름을 영의정 신숙주에게 부탁하여 애련정으로 하였다. 여주 세종대왕의 영릉을 참배하고 돌아가던 길에 역대의 국왕들이 애련정을 찾았는데, 중종이 1528년 10월 1.. 더보기
이천 안흥지 벚꽃 220410 장소 : 경기도 이천시 안흥동, 안흥지 촬영 일자 : 2022년 4월 10일, 맑음 (벚꽃 개화상태 최적) 더보기
<한국누정025> 광주 백인대(百仞臺) 220321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광여로 200-38(열미리 산174)건립시대 : 조선후기소유자 : 능성구씨 관선재공 문중촬영 일자 : 2022년 3월21일, 흐림백인대(百仞臺)는 일명 육각정 또는 육일정으로도 불리우고 있다. 아마도 정자의 모형이 육각정으로 되어있어 그리되었을 것이다. 백인대는 열미리 앞을 흐르는 열미천 앞산을 배경으로 백여척의 절묘한 암벽이 천연적으로 정자터를 이룬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열미천의 물줄기.. 더보기
<한국누정024> 광주 남한산성 지수당(地水堂) 220315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24-1, 남한산성 내 문화재 지정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호(1983.9.19 지정) 건립 시기 : 조선 현종 13년(1672) 건물 규모 및 구조 :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 목조 와가 지수당은 행궁에서 동문으로 가는 길가에 위치하고 있다. 지수당(地水堂)은 1672년(현종 13)에 광주부윤 이세화(李世華)가 건립한 정자이다. 건립 당시에는 정자를 중심으로 앞뒤에 세 개의 연못이 있어서 당시 이곳을 찾은 고관들이 한유하던 낚시터였다. 지금은 두 개의 연못과 누각이 남아있다. 정자의 남쪽에는 서에서 동으로 계곡물이 흐르고 있다. 정자 옆의 연못은 'ㄷ'자형으로 파서 연못이 정자를 둘러싼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을축년 대홍수(1925) 때 매몰.. 더보기
<한국누정023> 광주 남한산성 영춘정(迎春亭) 220315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56, 남한산성 내 건립 시기 : 1957년 건물규모 및 구조 : 2익공 겹처마 팔모지붕 영춘정은 수어장대에서 남문인 지화문으로 가는 길 약 1km 지점에서 왼쪽 화장실 방향 큰길과 오른쪽 성벽 따라가는 산길이 갈라지는 지점의 오른쪽 산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영춘정(迎春亭)은 일명 팔각정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현 남한산성 남문 밑에 있던 것을 1957년에 이곳 수어장대 근처로 이설 한 것이다. 이곳은 서울 경기지방 하남, 구리, 남양주, 서울시 동남부 한강일원인 송파, 강동구 일대를 관망할 수 있는 좋은 전망대이다. 내려갈 때는 성벽길을 따라 남문까지 갈 수도 있고, 올라온 길을 되돌아서 큰길을 따라 남문까지 갈 수도 있다. 성벽길은 길이 험해서 노약자들.. 더보기
<한국누정022> 광주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 220315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815-1, 남한산성 내 문화재 지정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호 수어장대는 서문과 남문 사이 가장 높은 지대에 위치한 지휘소 겸 적정 감시 시설이다. 수어장대와 청량당 수어장대 경내에는 오래된 향나무와 소나무가 위용을 뽐내고 있다. 수어장대(守禦將臺)는 지휘와 관측을 위한 군사적 목적에서 지은 누각이다. 남한산성에 있던 5개의 장대 중 유일하게 남아있으며, 성 안에 남아 있는 건물 중 가장 화려하고 웅장하다. 인조 2년(1624) 남한산성 축성 때 단층으로 지어 서장대라 불리던 것을 영조 27년(1751) 유수 이기진이 왕명을 받아 이층으로 다시 짓고 '수어장대'라는 편액을 달았다. 수어장대 2층 내부에는 '무망루'라는 편액이 달려 있었는데, 병자호란 때 인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