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쥐꼬리풀 학명 : Aletris spicata (Thunb.) Franch. 과명 : 백합과(Liliaceae) 속명 : 쥐꼬리풀속(Aletris) 이명 : 분좌난 속심풀 형태 : 다년초 꽃말 : 동심분포지역 : 다도해, 안면도에서 자란다 잎 : 잎은 총생하며 선형이고 길이 15-30㎝ 폭 3-7mm로서 3맥이 뚜렷하다. 줄기 : 꽃 : 꽃은 6-7월에 피며 통같고 길이 6-8mm로.. 더보기 지칭개 학명 : Hemistepa lyrata Bunge 과명 : 국화과 속명 : 지칭개속 이명 : 지칭개나물 형태 : 2년초. 꽃말 : 고독한 사랑, 독립 서식지 : 고도가 낮은 산지의 풀밭, 길가, 공터, 밭두렁.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일본, 인디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잎 :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 또는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좁아지며 길이 7~21cm로서 뒷면에 백색 털이 밀생하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3각형으로서 때로는 3개로 갈라지고 측열편은 7~8쌍으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선상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된다. 줄.. 더보기 <방방곡곡사진여행56> 초록과 빨강이 어우러진 공주 마곡사 단풍 161105 일시 : 2016년 11월 5일 토요일, 흐리고 가끔 햇볕 장소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마곡사 아침 일찍 충청남도 공주시 소재 마곡사를 향해 떠났다. 이제 충청남도만 가면 제주도를 제외한 대한민국 내륙지방 8도를 전부 방문하게되고, 전라북도 보다는 충청남도가 더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니 단풍이 더 들었으리라 예측하고 인터넷 검색을 해본 결과 충청남도에는 공주의 태화산마곡사와 계룡산갑사가 단풍 명소로 쌍벽을 이루는데, 충청남도 사람들은 춘마곡 추갑사라고 일컬어 왔으나 요즘은 오히려 마곡사의 단풍이 더 볼만 하다고 많은 블로거들이 추천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 마곡사를 다녀온 여러 블로거들이 지금쯤이 절정기일 것이라고 예측들을 하고 있어 마곡사로 가기로 결정을 한 것이다. 운암리 마을에 도.. 더보기 물위에 뜬 노랑머리 요정 남개연 160819 뻐꾹나리 촬영을 마치고 하산한 우리는 길가 그늘에다 자리를 펴고 각자 가져온 점심식사를 펼쳐놓고 식사를 시작했다. 법연이 준비해온 주먹밥이 단연 인기에다 양도 많아 세사람이 먹어도 다 먹지 못하고 남겼다. 식사를 마친 우리는 오늘의 마지막 목표인 남개연 자생지를 향해 떠났다.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양산유원지. 이곳이 남개연의 자생지이다. 벌곡면은 대둔산자락의 갑천 상류지역으로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 남개연 자생지이자 감돌고기와 쉬리, 반딧불이가 서식하는 청정지역인 이곳을 청정 브랜드로 특성화시켜 '청정벌곡환경축제"를 구상중이라고 한다. 물위에 떠있는 노랑머리의 요정들을 그 표정까지 카메라에 담기 위해서는 물속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다. 라일렙스는 긴 장화를 준비해 오고 나는 샌달을 준비해와서 바지를 걷.. 더보기 만리포에 울려 퍼진 병아리떼 합창 160625 만리포해변에 도착하여 처음에는 병아리난초가 있는 소나무숲으로 오르는 입구를 찾지 못해 한참을 헤매야 했다. 간신히 입구를 찾아 올라가니 작년에 많이 자라고 있던 곳을 탐색해 봐도 병아리난초가 없다. 작년 보다 더 높은 곳으로 오르니 더 많은 개체수가 알맞게 꽃을 피우고 있었다. 가느다란 줄기에 병아리 주둥이 같은 작은 꽃들이 수없이 매달려 바람에 한들거리는 모습이 수많은 병아리가 합창을 하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한다. 병아리난초 (http://blog.daum.net/ygkgyou/178) 병아리난초를 실컷 담고 내려오는 길에 한 그루의 매화노루발을 만났다. 동생도 삼매경이다. 야생화 촬영을 마무리 짖고 오후 5시경 콘도로 들어갔다. 청주에서 오는 여동생 내외가 먼저 와서 체크인 하고 있다. 아직은 깊은.. 더보기 님도 보고, 뽕도 따고 160625 출사일자 : 2016년 6월 25일 토요일 맑음 출사장소 :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황촌리 구례포해변 작년 7월 3일 방문했던 만리포의 병아리난초와 구례포의 닭의난초가 올해는 6월 마지막 토요일인 25일경이 가장 적기일 것이라고 예측이 되고 병아리난초 만은 꼭 다시 사진 찍어보고 싶은 마음이지만 태안반도가 너무 멀어 내가 혼자 당일 왕복운전하기엔 무리이다. 고심 끝에 나의 형제 3남매 부부가 매년 만나는 1박2일 여행을 이쪽으로 유치해 보기로 했다. 보령에 있는 한화리조트 대천 파로스에 검색을 해보니 예약이 완료되고 회원 대기예약만 가능하다. 다행히 25일 토요일 대기예약이 정식 예약으로 확정되고 25일에 대천에서 일박하기로 되었다. 아침 7시에 출발하여 구례포와 만리포를 거쳐 대천 콘도로 들어가기로 예.. 더보기 용기를 내어 안면도로 160609 출사일자 : 2016년 6월 9일 목요일 맑음 출사장소 :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일대 지난 주에 화악산 출사에서 무리한 산행의 후유증으로 얻은 몸살이 아직 완전 회복되지 않았는데 안면도의 매화노루발 소식은 계속해서 마음을 급하게 자극한다. 작년 6월 19일에 안면도에 따라가서 매화노루발을 처음 보고 다소곳이 고개숙인 하얀 매화의 매력에 취해 올해는 조금 일찍 만나러 가야겠다고 벼르고 있는 중이다. 허나 그동안 출사를 동행했던 몇사람에게 타진해 보았으나 대부분 예정은 있으나 동승인들이 정해져서 나는 낄 자리가 없다. 후유증이 남아있는 몸으로 자가운전이 무리인줄 알지만 어쩔수 없다. 날씨가 좋고 교통이 원활한 목요일을 택해 아침 6시에 아내와 함께 안면도를 향해 출발했다. 행담도휴게소에서 아침식사를 하고 .. 더보기 달래 학명 : Allium monanthum MAX. 분류 : 백합과 부추속 여러해살으풀 꽃말 : 신념, 청념 서식지 : 전국각지, 산과 들, 온상 재배 잎 : 줄기의 밑 부분에서 대롱처럼 생긴 잎이 1~3개 나오는데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서 9~13개의 맥이 있다. 길이 10~20cm, 나비 3~8mm의 크기에 흰빛이 도는 연한 녹색이며 잎의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꽃대를 감싼다. 여름에는 잎이 말라 없어진다. 꽃 : 4~6월에 잎 사이에서 길이 5~12cm로 잎보다 짧은 1개의 꽃대가 나와 그 끝에 1~2개가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리는데 10여 개의 잔꽃이 모여 탁구공 만하게 핀다. 양성화이다. 잔꽃의 길이는 4~5mm이며 흰색이거나 붉은빛이 도는데 막질이고 달걀꼴의 꽃턱잎이 있다. 꽃잎은 6개이고 ..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